728x90
반응형
프로세스-가상메모리
모든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가상주소공간을 가짐
32bit/64bit에 맞게 최대 4GB/16GB의 주소공간을 가진다
(각 프로세스의 쓰레드는 해당 프로세스의 주소공간에만 접근 가능)
가상메모리는 프로세스의 Logical memory와 Physical memory를 분리하기위해 만듬
하나의 프로세스 Logical memory가 Physical memory보다 커지는 것 가능
프로세스의 실제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리는 Demand-Paging 기법사용
디스크상에 존재하는 파일을 paging file이라고 하며 모든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가상메모리로 사용됨
Page
가상메모리를 사용하는 최소 크기 단위
무작위로 메모리를 로드할 경우 fragmentation 발생 가능성
demand page
실제 필요한 page만 물리 메모리에 가져오는 방식
-필요 page에 접근하려하면, 결국 가상메모리 주소에 대응하는 물리 메모리 주소를 찾아내어
물리 메모리 주소를 얻어와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페이지테이블(page table)이다
페이지 테이블에 valid bit는 해당 page가 물리메모리에 있으면 set, 그렇지 않으면 valid로 설정함
728x90
반응형
'IT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ull Request(풀 리퀘스트) 방법 정리 (0) | 2018.11.22 |
---|---|
동기화,뮤텍스,세마포어 (0) | 2018.11.22 |
버퍼, 파일시스템, 유저공간이란? (0) | 2018.11.22 |
Interpreter VS Compiler (0) | 2018.11.22 |
Endian에 대해 (2) | 2018.11.22 |